github actions

캡스톤에서 SpringBoot, MongoDB를 사용해서 백앤드 서버 개발을 해야한다.내가 인프라를 맡기로 해서 CI/CD및 인프라를 완료하였다.기록할겸 블로그에 정리해보았다.EC2는 MongoDB,  SpringBoot 사용할 것이기에, 추가로 8080포트와 27017 포트를 열어주었다.그리고 t2.micro말고 t3a.small을 사용하였다. t2.micro는 너무 작다...https://start.spring.io/실행 잘 된다.이제 깃허브에 연결해주자레포지토리 생성하고git initgit add README.mdgit commit -m "first commit"git branch -M maingit remote add origin git@github.com:seongjju/seongjju-web-..
1. CI/CD 기본 개념 / Github Actions 기본 개념 1. CI/CDContinuous Integration, Continuous Deployment배우는 이유서비스 운영 시 새로운 기능 필요이에 따라, 코드 작성 -> Commit -> Merge -> 배포매우 귀찮다 -> 이런 반복적인 과정을 자동화 2. Github Actions저번에 젠킨스를 활용했었는데, 이번에는 Github Actions를 공부해보자https://koreatstm.tistory.com/140로직을 실행시킬 수 있는 일종의 컴퓨터젠킨스의 경우, 별도 서버가 필요하지만, Github Actions는 서버 구축 없이 내장된 Github Actions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. 비용도 좋고, 셋팅하는데 시간도 절약CI/CD ..
상단으로